-
반응형SMALL
선물
주식 선물(Futures)은 미래의 특정 날짜에 지정된 가격으로 주식, 채권, 원자재, 화폐 등의 상품을 매입/매도하는 거래 방식을 말합니다. 선물에 대한 거래가 계약이므로, 거래 가능한 상품의 종류와 거래 일정, 그리고 선물의 가격 등이 하나의 계약서에 정리되어 있습니다. 이 계약서에 서명한 거래자는 선물에 대한 자금을 예치하게 됩니다. 거래 날짜가 다가오면, 그때 선물 거래 계약서에 명시된 가격으로 거래가 이루어지게 됩니다. 만일 거래 날짜에 상품의 가격이 지정된 선물 계약의 가격보다 오르면 매수자는 얻은 차익을 취하게 되고, 반대로 가격이 내려면 매도자가 얻게 됩니다. 예를 들어, 주가 지수 예측으로 인해 주식 선물 계약을 매수할 경우, 만약 해당 주식 지수가 거래일이 되는 날 높은 수치를 기록할 경우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예측과 달리 지수가 떨어질 경우 손해를 볼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금융 시장의 경험이 필요한 높은 위험성과 높은 수익성을 동시에 가진 투자 방식입니다.
주식시장 시가, 고가, 저가
증권 시장에서, 주식의 차트를 분석하다 보면 주식의 시가, 고가, 저가가 많이 등장하게 됩니다. 시가 (Opening Price) 란, 특정 시간(일반적으로 오전 9시)에 매수와 매도 주문이 처음으로 체결되어 주식의 거래가 시작된 가격을 말합니다. 고가 (High Price) 란, 일정 기간 동안(business day, week, month 등) 현장에서 거래된 최고 가격을 의미합니다. 저가 (Low Price) 란, 일정 기간 동안(business day, week, month 등) 현장에서 거래된 최저 가격을 의미합니다. 즉, 주식의 시가는 오전 9시에 거래가 시작된 가격, 고가는 기간 동안 거래된 주식의 가격 중 가장 높은 가격, 저가는 기간 동안 거래된 주식의 가격 중 가장 낮은 가격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정보들은 주식 차트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주식 시장에서 상승추세인지 하락추세인지 파악하고 투자 전략을 세울 때 유용합니다.
약정수량
증권 시장에서 약정수량(contract size)은 거래하는 상품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그 종류마다 선정된 표준 체결 단위를 말합니다. 이 약정수량이 일반적으로 큰 경우, 그 상품에 대한 거래량이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주식에서 약정수량은 1주, 100주, 1000주 등으로 정해져 있는데, 1000주의 경우 한 거래로 1000주에 해당하는 주식을 매입/매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약정수량은 거래상품마다 다르므로, 예를 들어 USD/JPY와 같은 외환 (Forex)에서는 천 단위의 약정수량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선물거래에서 약정수량은 보통 100개, 1000개 등과 같은 수량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거래하는 상품마다 다른 약정수량은 투자자가 그 상품을 거래할 때 고려해야 할 중요한 항목 중 하나입니다. 일반적으로 거래금액은 약정수량과 가격을 곱한 값으로 결정되므로, 약정수량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예상과 다른 많은 금액을 거래하게 될 수 있습니다.
상한가, 하한가
증권 시장에서, 주식 가격은 일정기간 동안 거래된 가격 등으로 결정됩니다. 상한가와 하한가는 그 주식의 일정기간 동안의 거래된 가격의 범위를 나타내며, 가격의 변동폭을 제한하기 위한 시스템적인 장치입니다. 상한가 (Upper Limit Price)는, 한정된 시간 내에 거래가 급격히 증가할 때 발생하는 가격 폭등을 막기 위하여 상한 한계 금액 이상으로 가격이 오르지 못하게 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상한가는 전일 종가 대비 일정 비율 이상의 급등을 방지하기 위해서 적용됩니다. 다만, 상한가는 거래소 별로 다르게 적용되므로 참조할 필요가 있습니다. 반대로 하한가 (Lower Limit Price)는, 가격이 일정한 수준 이하는 나오지 못하게 하여 시장의 대량 폭락을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적인 장치입니다. 투기 시장의 패닉이나 불황 상황에서 주식 가격이 떨어질 때, 하한가가 설정되면 장이 마감될 때까지 그 가격 이하로 주식 가격이 하락하지 않습니다. 상한가와 하한가가 적용되면, 그 가격을 포함한 범위에서 거래가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한계는 모든 증권에서 같은 비율로 적용되지는 않으며, 종목별로 다르게 적용됩니다. 따라서 상한가, 하한가는 일부 투자자에게는 부정적인 요소로 미치기도 하지만, 일정정도의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한 한계 조치의 기능을 합니다.
약정대금
증권 시장에서 약정대금은 주식 거래 시 거래된 주식의 수량과 주식 가격을 곱하여 얻은 거래 대금을 의미합니다. 주식마다 거래되고 있는 가격에 따라 약정대금이 상이할 수 있으며, 주식 액면 가치와 현재 거래되고 있는 시장 가격 등에 따라 가격이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100주의 ABC주식이 1만 원에 거래된다면 이 주식의 약정대금은 1백만 원입니다. 또한, 만약 1000주의 XYZ주식이 8천 원에 거래되었다면 약정대금은 800만 원이 됩니다. 약정대금의 크기는 투자자가 투자금액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예를 들어, 투자자가 투자하고자 하는 액수를 알고 있다면, 그에 맞는 주식의 약정대금을 계산하여 구매할 수 있습니다. 또한, 거래 비용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약정대금을 이용하여 매수 또는 매도 결정을 할 수 있게 됩니다.
반응형LIST'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공부기초-주식용어(10) (0) 2023.05.12 주식공부기초- 주식용어(9) (0) 2023.05.12 주식공부기초-주식용어(7) (0) 2023.05.09 주식공부기초- 주식용어(6) (0) 2023.05.09 주식공부기초 - 주식용어(5) (0) 2023.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