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응형SMALL
1. 공매도란?
- 빌린 주식을 판매해 놓고 가격이 떨어지면 다시 주식을 돌려주면서 차익을 얻는 원리입니다. 예를 들어, A라는 투자자가 B회사의 주식 1000주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A는 B회사 주식이 급격히 하락할 것 같아서, 주식 시장에서 B회사의 주식 1000주를 찾아 빌려서 10,000원에 판매합니다. 이후, B회사의 주식이 실제로 급격히 하락해서 하나의 주식이 9,000원으로 떨어졌을 때 A는 시장에서 다시 B회사의 주식 1000주를 9,000원에 구매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A는 다시 이 주식 1000주를 빌려준 곳에 돌려주면서 이익인 1,000,000원을 얻게 됩니다. 즉, A가 가진 B회사의 주식에 대해서, 시장에서 빌려온 주식을 팔고 다시 시장에서 구입하여 빌려준 주식을 돌려주면서 이익을 창출하는 것이 공매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식시장 2. 공매도에서 알아야 할 용어들
1) 대차대조표(Margin Statement)
- 시장참여자들이 핸들링하는 것으로 투자자가 매입한 주식, 보유한 주식, 빌려 받은 주식, 대신 빌려준 주식, 부채 등의 다양한 자산과 부채를 종합적으로 내역 화한 자료입니다. 예를 들어서 A 투자자가 B 회사의 주식 1000주를 10,000원에 빌려서 공매도를 하기 위해 거래를 합니다. 이때 A 투자자는 빌린 주식 1000주를 팔고 1,000만 원을 얻습니다. 그다음, B 회사의 주식 값이 하락하는 것을 예상하고, A 투자자는 B 회사의 주식을 다시 9,000원에 매입하여 빌려준 주식을 돌려줍니다. 이때 A 투자자는 9,000원에 주식 1000주를 매입하고, 다시 빌려준 곳에 돌려주면서 이익을 얻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공매도나 대차대조표 작성 시 주식의 가격이 대출금액 이하로 떨어질 때 추가 보증금을 요구하는 것을 '마진 콜(Margin Call)'이라고 합니다. 또한, 공매도나 대차대조표 작성 시 주식의 가격, 수수료 지불 등 기타 사항을 포함한 여러 요소에 대한 관리와 유지보수를 '마진 메인트넌스(Margin Maintenance)'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대차대조표는 공매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며, 투자자가 빌려서 매도한 주식과 대신 빌려준 주식에 대한 내역을 정확히 기록하고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2) 증여(Securities Lending)
- 공매도를 하기 위해 빌려온 주식을 대신 빌려주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A라는 투자자가 B회사의 주식 1000주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A는 B회사 주식이 급격히 하락할 것 같아서, 주식 시장에서 B회사의 주식 1000주를 찾아 빌려서 10,000원에 판매합니다. 이때 누군가는 A에게 이 B회사의 주식을 빌려달라고 할 것입니다. 그러면 A는 자신이 보유한 B회사의 주식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A는 렌딩 원금(빌린 주식의 금액)을 받아 이에 따른 이익이나 손실이 발생합니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대차대조표(Margin Statement)를 작성하고 수수료를 선 결제해야 합니다. 즉, 증여는 공매도를 하기 위해서 빌려온 주식을 다시 대신 빌려주는 것으로, 렌딩 원금과 수수료를 받아 받은 이익에 따라 이득을 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3) 마진 콜(Margin Call)
- 공매도나 대차대조표 작성 시, 주식의 가격이 대출 금액 이하로 떨어지면 추가 보증금을 요구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A라는 투자자가 B회사의 주식 1000주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A는 B회사 주식이 급격히 하락할 것 같아서, 주식 시장에서 B회사의 주식 1000주를 찾아 빌려서 10,000원에 판매합니다. 이후, B회사의 주식이 더 이상 하락하지 않고 상승세를 나타내기 시작합니다. 이에 따라 A가 빌려온 주식의 금액이 원금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즉 A가 지금 현재 보유하고 있는 대출 금액에 대해 충분한 보증금을 갖고 있지 않을 경우 추가 보증금을 요구하게 됩니다. 만약 A가 추가 보증금을 제때 충당하지 못한다면, 대출금액을 상환하거나 주식을 매입해서 보증금 증액해야 합니다. 이를 마진 콜이라 하며, 추가 보증금을 충당하면 공매도를 계속해서 이어갈 수 있고, 만약 충당하지 못하면 공매도를 종료해야 합니다. 따라서, 매매 거래 시 마진 콜에 대한 위험을 충분히 고려하고, 자금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4) 마진 메인트넌스(Margin Maintenance)
- 공매도나 대차대조표 작성 시, 주식 가격, 수수료 지불 등 기타 사항을 포함한 여러 요소에 대한 관리와 유지보수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A라는 투자자가 B회사의 주식 1000주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A는 B회사 주식이 급격히 하락할 것 같아서, 주식 시장에서 B회사의 주식 1000주를 찾아 빌려서 10,000원에 판매합니다. A는 이때 대차대조표(Margin Statement)를 작성하여 렌딩 원금과 수수료를 지불해야 하는데, 이때 수수료뿐만 아니라, 시장 변동성이 높은 경우 언제든지 추가 자금・보증금을 증액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마진 메인트넌스 또는 유지관리라고도 합니다. 따라서, 공매도 등의 거래 시 마진 메인트넌스에 대한 위험성을 충분히 고려하고, 시장 변동성과 자금 관리 등을 철저하게 관리해야 합니다. 그리고 투자자들은 언제든지 거래를 취소할 수 있으며, 거래 상황에 따라 유지보수를 할지 결정할 수 있습니다.
5) 공매도 금지(Short Sale Ban)
- 주식 가격이 급격히 하락하거나 장외거래 시장에서 주식 가격이 불안정한 상황에서 금융당국이 일시적으로 공매도를 금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공매도를 진행하면서 주가 하락폭을 더 가중시키고 시장 안정성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행됩니다. 예를 들어, A라는 투자자가 B회사의 주식 1000주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A는 B회사 주식이 급격히 하락할 것 같아서, 주식 시장에서 B회사의 주식 1000주를 찾아 빌려서 10,000원에 판매합니다. 그리고 금융당국에서 공매도 금지 조치를 내렸을 경우에는 A는 더 이상 B회사의 주식을 대출받을 수 없게 됩니다. 즉, A는 빌린 주식을 되돌려주고 이윤을 얻을 수 없게 됩니다. 공매도 금지 조치는 일시적으로 시행되는 경우가 많으며, 일반적으로 금융 시장 안정을 위해서 금융당국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조치를 취하며, 금융 시장의 안정이 회복되면 공매도 금지 조치가 해제됩니다.
6) 숏 포지션(Short Position)
- 특정 주식이 가격이 하락할 것을 예상하여 주식을 매도하고, 나중에 낮은 가격으로 다시 사서 이익을 창출하는 방식의 투자 전략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A라는 투자자가 B회사의 주식 1000주를 10,000원에 매수합니다. 그리고 A는 B회사가 건강하지 않다는 정보를 입수하여, B회사의 주식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판단하고, 주식 시장에서 B회사의 주식을 찾아 빌려서 10,000원에 판매합니다. 이 과정에서 A는 주식 매도로 1,000만 원의 자금을 유입받습니다. 그리고 B회사의 주가가 떨어져서 A가 이를 8,000원에 매수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A는 이를 다시 돌려줍니다. 이 경우 A의 이득은 (10,000원 - 8,000원) x 1000주 = 2,000만 원이 됩니다. 이처럼 A는 B회사 주식 가격이 떨어질 것을 예상하고, 공매도를 통해 주식을 빌리고 판매함으로써 이익을 창출하는 것이 숏 포지션입니다. 숏 포지션은 추세가 내림세일 때 수익을 창출할 수 있지만, 반대로 추세가 상승세를 나타내면 손해를 볼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타이밍과 자금 관리가 중요합니다.
반응형LIST'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공부 중 놓친 기초용어(1) (0) 2023.05.21 공매도에 대해 알아보자(2) (0) 2023.05.18 주식공부기초-주식용어(14) (0) 2023.05.18 주식공부기초-주식용어(13) (0) 2023.05.16 주식공부기초-주식용어(12) (0) 2023.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