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응형SMALL
1. 공매도의 기본원리
-공매도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빌린 것을 팔아 이익을 얻은 후, 더 싼 가격에 다시 사서 원래 빌린 것을 돌려주는 것"이라는 개념을 이해해야 합니다. 좀 더 자세한 설명을 위해 아래와 같은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예를 들어, A 투자자는 XYZ 주식을 1,000주 소유하고 있으며, 현재 주가는 10,000원입니다. 하지만 A 투자자는 XYZ 회사에 대해 부정적인 정보를 얻어, 주가가 급락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이에 A 투자자는 B 중개인으로부터 XYZ 주식 1,000주를 9,000원에 빌립니다. A 투자자는 이제 1,000주의 XYZ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지만, 대신 9,000원을 B 중개인에게 지불해야 합니다. 그 후, A 투자자는 빌린 1,000주의 XYZ 주식을 10,000원에 팝니다. 이로 인해 A 투자자는 1,000원의 이익을 얻습니다. 하지만, A 투자자가 기대했던 대로, XYZ 회사의 주가는 급락하여 주가는 8,000원으로 떨어졌습니다. A 투자자는 이제 다시 1,000주의 XYZ 주식을 8,000원에 구매합니다. 이전에 빌렸던 1,000주의 XYZ 주식을 B 중개인에게 돌려주고, 구매한 XYZ 주식으로 다시 보유합니다. 이전에 팔았던 XYZ 주식의 가격은 10,000원이지만, 다시 산 주식의 가격은 8,000원입니다. 따라서 A 투자자는 1,000원의 이익을 얻은 것입니다. 이것이 공매도의 기본 원리입니다. A 투자자는 XYZ 주식을 빌리고, 판매하여 이익을 얻은 후, 더 싼 가격에 다시 구매하여 대여했던 XYZ 주식을 돌려주는 것입니다. 이처럼 공매도는 가격 하락을 예상할 때 이익을 얻을 수 있는 투자 전략 중 하나입니다.
주식시장 2. 공매도 과정
- 공매도는 빌린 주식을 팔아 이익을 얻은 후에, 더 싼 가격에 다시 주식을 구입하여 빌려준 주식을 돌려주는 과정입니다. 예를 들어서, A라는 투자자가 B회사의 주식 1000주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A는 B회사 주식이 급격히 하락할 것 같아서, 주식 시장에서 B회사의 주식 1000주를 찾아 빌려서 10,000원에 판매합니다. 이후, B회사의 주식이 실제로 급격히 하락해서 하나의 주식이 9,000원으로 떨어졌을 때 A는 시장에서 다시 B회사의 주식 1000주를 9,000원에 구매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A는 다시 이 주식 1000주를 빌려준 곳에 돌려주면서 이익인 1,000,000원을 얻게 됩니다. 즉, A가 가진 B회사의 주식에 대해서, 시장에서 빌려온 주식을 팔고 다시 시장에서 구입하여 빌려준 주식을 돌려주면서 이익을 창출하는 것이 공매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공매도와 관련된 다양한 용어들이 있지만, 이를 자세하게 알 필요는 없고, 기본적인 공매도 전략을 이해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3. 공매도 전략
- 공매도는 어떤 주식을 빌려서 판매한 후 주가가 떨어지면 다시 주식을 싸게 사주어 대여한 주식을 반납하고 그 차액을 이익으로 취하는 투자 전략입니다. 예를 들어, 특정 회사의 주가가 10만 원일 때, 공매도 투자자는 이 주식을 1만 원에 대여하여 시장에 판매합니다. 이후 주가가 8만 원으로 떨어지면 공매도 투자자는 다시 6만 원에 주식을 사서 대여한 주식을 반납하고, 그 차액으로 4만 원의 이익을 얻게 됩니다. 공매도 전략은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주식에서 주로 사용되며, 공매도를 통해 주식 시장의 약점을 이용하여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 방법입니다. 그러나, 공매도는 리스크가 큰 전략이기 때문에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특히, 독점 조합 등으로 공매도를 악용하는 것은 불법입니다.
4. 공매도의 잔고확인하는 방법
1) 거래소 홈페이지 접속 : 우선 거래소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대표적인 거래소로는 한국거래소(KRX)가 있습니다.
2) 검색어 입력 : 거래소 홈페이지에서 공매도 잔고를 확인할 종목명을 검색창에 입력합니다.
3) 조회페이지 접속 : 검색 결과로 나타난 종목을 클릭하면 해당 종목의 주식 정보가 나타납니다. 이때, 해당 페이지에서 왼쪽 메뉴의 '공매도'를 클릭하여 공매도 정보 페이지로 접속합니다.
4) 공매도 잔고 확인 : 공매도 정보 페이지에서는 해당 종목에 대한 공매도 정보가 나타납니다. 이 중에서 '공매도 잔고'를 확인하면, 현재 해당 종목의 공매도 잔고를 알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거래소 홈페이지에서 간단하게 공매도 잔고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다만, 공매도 잔고 자체가 동적으로 변하는 값이므로, 일정한 간격으로 조회하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LIST'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공부 중 놓친 기초용어(2) (0) 2023.05.21 주식공부 중 놓친 기초용어(1) (0) 2023.05.21 공매도에 대해 알아보자(1) (0) 2023.05.18 주식공부기초-주식용어(14) (0) 2023.05.18 주식공부기초-주식용어(13) (0) 2023.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