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응형SMALL
주식용어 틱, 약수익과 약손실, 추매, 조건부 지정가, 최유리 지정가, 최우선 지정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식용어공부 틱
주식에서 "틱(tick)"은 주가의 가장 작은 단위입니다. 즉, 주가가 한 틱 올랐거나 내렸을 때의 변동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종목의 현재 호가가 매도 105,000원, 매수 104,500원 일 때, 이 종목의 틱 단위는 500원입니다. 따라서, 이 종목의 가격이 매도 105,000원에서 105,500원으로 상승하면, 1 틱이 상승한 것입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주가가 매 변동될 때마다 1 틱씩 상승 또는 하락하게 됩니다. 주식 거래에서 틱은 매우 작은 수치이기 때문에, 종목의 가격이 크게 변동하지 않을 때에는 영향이 미미합니다. 하지만, 상승 또는 하락률이 큰 경우에는 주식 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주식 거래를 할 때에는 틱 단위의 가격 변동을 주목하여 투자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좋습니다.
약수익과 약손실
약수익과 약손실은 금융거래를 통해 발생하는 실현되지 않은 손익을 의미합니다. 주식, 채권, 선물, 옵션 등의 거래에서 등장하는 개념이며, 주로 매매 포지션을 평가하는데 사용됩니다.
1. 약수익 (Unrealized Gain)
:약수익은 여러 가지 이유로 아직 실현되지 않은 이익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10,000원에 주식을 매입한 후 현재 가격이 11,000원이라면, 1,000원의 약수익이 발생한 것입니다. 하지만 이 경우 주식은 아직 팔리지 않았고, 따라서 이익은 실현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2. 약손실 (Unrealized Loss)
: 약손실은 금융자산의 가치가 처음 구입 가격보다 하락한 상태에서 아직 실현되지 않은 손실을 뜻합니다. 위의 예와 같이 10,000원에 주식을 매입한 후 내려져 현재 가격이 9,000원이라면, 1,000원의 약손실이 발생한 것입니다. 이 경우 역시 아직 주식은 팔리지 않았기 때문에 손실은 실현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약수익과 약손실은 각각 금융자산 가치의 상승과 하락으로 인한 손익이 실현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냅니다. 실현손익은 매매 포지션을 청산하면서 발생하는 손익으로, 예를 들어 주식을 시장가로 팔아 실제 현금으로 환산한 이후의 이익 또는 손실입니다. 일반적으로 투자자들은 약수익과 약손실을 미래의 거래를 위한 참고자료로 사용합니다.
추매
추매(Chasing)는 주식 투자에서 이미 매입한 주식의 가격이 하락할 경우, 추가로 매입하여 평균 매입 단가를 낮추는 전략입니다. 예를 들어, 사람 A가 회사 X의 주식을 1주에 10,000원에 구매했고, 주식 가격이 9,000원으로 하락할 경우, A는 추매를 통해 평균 매 단가를 낮출 수 있습니다. A가 추가로 1주를 9,000원에 매입한 경우, 기존 1주와 합쳐 쳐서 총 2주를 가졌고, 평균 매입 단가는 (10,000원 + 9,000원) ÷ 2 = 9500원이 됩니다. 추매를 통해 평균 매입 단가를 낮추는 것은 주식 가격이 회복되었을 때 더 빠른 익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A가 평균 매입 단가를 9,500원으로 낮췄다면, 주식 가격이 9,500원 이상으로 오르면 이익을 볼 수 있습니다. 반면, 추매를 하지 않은 경우는 주식 가격이 10,000원에 도달해야만 이익을 볼 수 있어서 손실이 커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추매를 할 때, 결과적으로 주식 가격이 계속 하락할 가능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주식 가격이 단기적으로 하락하다가 반등하는 것이 아닌, 장기적으로 계속 하락하는 상황에서 추를 통해 매입한 주식은 손실을 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추매 전략을 사용할 때 잘 선택하고 관리하는 것 중요합니다.
조건부 지정가, 최유리 지정가, 최우선 지정가
주식 거래에서 지정가는 주문을 넣을 때 설정하는 가격을 의미하며, 주건부 지정가, 최유리 지정가, 최우선 지정가는 주문 방식 별로 다른 특징이 있습니다.
1. 주건부 지정가 (Single-Price Auction)
: 주건부 지정가는 자신이 지정한 가격으로만 주문이 체결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매수 주문 가격을 10,000원으로 설정했을 때, 이 가격에서만 체결이 가능합니다. 시장에서 현재 체결되는 가격이 다른 경우에는 체결되지 않습니다. 이 방식은 체결 가격을 미리 확정하고 싶은 경우에 유용합니다.
2. 최유리 지정가 (Best-Limit Price)
: 최유리 지정가는 가장 유리한 가격으로 주문이 체결됩니다. 예를 들어, 매수 주문가격을 11,000원으로 설정했을 때, 시장에서 가능한 수신 가능 가격으로부터 체결됩니다. 이 경우에는 주문자가 지정한 가격 이내에서 시장거래 가격 범위 내에서 가장 유리한 가격으로 매칭되어서 체결됩니다. 이 방식은 주문자가 지정한 가격까지 체결을 원하는 경우에 유용합니다.
3. 최우선 지정가 (Immediate-Or-Cancel Price)
: 최우선 지정가는 시장에 있는 최우선 호가로 매수 또는 매도 주문이 즉시 체결되어야 하는 경우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주문을 넣자마자, 시장가 상단에 위치한 (매수라면 가장 저렴한 가격, 매도라면 가장 비싼 가격) 최우선 호가로 체결됩니다. 이 주문 유형은 주식 가격이 빠르게 변동하고 있을 때 즉시 체결을 원하는 경우에 적합합니다.
이렇게 각 지정가 방식은 주문자의 거래 전략과 상황에 따라 선택할 수 있으며, 시장의 변동성과 거래 속도 등을 고려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무리
주식용어 1틱, 약수익과 약손실, 추매, 조건부 지정가, 최유리 지정가, 최우선 지정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한번 정리해 보겠습니다. 틱 주가가 한 틱 올랐거나 내렸을 때의 변동을 의미합니다. 약수익과 약손실은 금융거래를 통해 발생하는 실현되지 않은 손익을 의미합니다. 추매(Chasing)는 주식 투자에서 이미 매입한 주식의 가격이 하락할 경우, 추가로 매입하여 평균 매입 단가를 낮추는 전략입니다. 주건부 지정가는 자신이 지정한 가격으로만 주문이 체결될 수 있습니다. 최유리 지정가는 가장 유리한 가격으로 주문이 체결됩니다. 최우선 지정가는 시장에 있는 최우선 호가로 매수 또는 매도 주문이 즉시 체결되어야 하는 경우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반응형LIST'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용어 IOC주문과 FOK주문, 섹터, 체결과 미체결, 주문번호 (0) 2023.06.29 주식용어 메어저, 캔들, 봉, 양봉과 음봉 (0) 2023.06.29 주식용어 보조지표, 전환사채, 공시,주담 알아보기 (0) 2023.05.30 주식공부 중 놓친 기초용어(2) (0) 2023.05.21 주식공부 중 놓친 기초용어(1) (0) 2023.05.21